반응형

위는 모션 센서와 위모트라는 독특한 컨트롤러가 합쳐져서

움직이며 게임을 즐기는 방식을 널리 퍼트린 게임기입니다.

광고에서도 게임보다는 움직임(운동)을 강조해서 대중적으로 널리 퍼진 게임기입니다.

이런 위의 게임을 PC로 즐기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준비물이 필요한데요.

모션을 인식해야하는 게임이 많다보니 다른 에뮬레이터와는 다르게 전용 컨트롤러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준비물

돌핀바 : 위의 센서를 대신하여 PC에서 모션을 인식해주는 센서 겸 블루투스 연결 기기입니다.

위모트 : 위의 전용 컨트롤러인데 가품을 구매할 경우 인식을 할 수도 있고 안할수도 있습니다. 정신건강을 위해 정품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 준비물이 구비되었다면 PC용 돌핀 에뮬레이터를 받아줍니다.

https://ko.dolphin-emu.org/download/?ref=btn

 

돌핀 에뮬레이터 - 다운로드

Development versions are released every time a developer makes a change to Dolphin, several times every day! Using development versions enables you to use the latest and greatest improvements to the project. They are however less tested than beta versions

ko.dolphin-emu.org

 

접속하면 개발 버전과 베타버전 그리고 안정된 버전이 있는데

베타 버전의 가장 최신 버전을 받으면 됩니다.

그 다음 돌핀바를 PC에 연결합니다.

돌핀바 뒷쪽을 보면 아래 사진과 같이 되어있는데요.

top 과 bottom은 센서를 모니터 위에 둘 것인지 아래 둘 것인지 선택하는 것이고

반대편 스위치는 파워입니다.

파워를 켜주고 top 과 bottom을 선택해 돌핀바를 셋팅해줍니다.

이게 잘 안보이는데 ㅋㅋ

모드 버튼을 눌러 4번으로 맞춰줍니다.

그 다음 반대편에 있는 SYNC버튼을 누르는데요 그럼 파란 불이 깜빡입니다.

위모트의 건전지 부분에 저 빨간 버튼을 누르면 위모트가 돌핀바랑 통신해서 연결이 됩니다.

연결이 잘 되면 이렇게 컨트롤러 번호에 불이 들어옵니다.

1p로 잡힌 것이지요 ㅎㅎ

그럼 이제 다운받은 돌핀을 실행합니다.

Dolphin.exe를 실행합니다.

옵션에 환경설정을 눌러줍니다.

경로에서 게임폴더 경로를 지정해주면 경로에 있는 게임이 리스트에 추가됩니다.

WII탭으로 이동합니다.

따로 건드릴 것은 없고 wii리모트 설정에서 센서바 위치를 설치한 위치와 동일하게 맞춰줍니다.

그 다음 환경설정은 종료하고

옵션- 컨트롤러 설정을 눌러줍니다.

wii리모트 항목에

wii의 블루투스 어탭터를 에뮬이 체크되었는지 보고

wii리모트 1이 실제 wii리모트로 되어있는지 봅니다.

그 다음 게임을 실행시켜줍니다.

안내 문구에 맞춰 리모트를 잘 잡아줍니다 ㅎㅎ

리모트를 인식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정품 위모트이면 여기까지 따라오면 당연히 잘 인식이 됩니다.

(위모트를 화면이 아닌 센서를 향해 움직여야합니다. 따라서 센서의 위치를 잘 설정해야합니다.)

위모트에는 스피커가 내장되어있는데요

여기로 소리가 나오기도 합니다. (근데 엄청 깨집니다)

이때는 여기서 스피커 데이터 활성화를 풀어주시면 위모트에서는 소리가 안나오게 됩니다.

간혹 눈차크가 필수인 게임이 있는데요.

별다른 설정 없이 위모트에 눈차크를 연결해주시면 바로 인식을 합니다.

메트로이드 프라임같은 게임이 눈차크를 필요로 하는 게임입니다.

자 여기까지 진행을 해보았는데 뭐가 잘 안된다...하시는 분들은 몇가지 사항을 체크해보면 되는데요.

위모트가 정품이 아닌 경우 간혹 연결은 되는데 돌핀에서 인식을 못하기도 합니다.

만약 연결은 되었는데 돌핀에서 작동을 안하는 경우 돌핀바의 모드를 2번으로 변경하고 나서 (잠시 뭐가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마우스가 움직이는지 체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번 모드는 위모트를 마우스로 인식하게 해주는 모드입니다.

2번 모드에서 마우스가 움직이는데 4번 모드에서 돌핀에서 인식이 안되는 것은

위모트의 문제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요즘 P2E이라는 것이 대세입니다.

게임을 하면서 돈을 번다 (play to earn)이라는 뜻인데요.

P2E까지는 아니지만 스팀으로 게임을 하면서 소소하게 푼돈을 모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소소하게 푼돈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이걸로 돈을 번다라고 하기는 조금 부족하고..

스팀에서 게임 살 돈에 조금 보탤만한 돈을 벌 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스팀 장터를 이용하여 아이템을 판매하는 방법인데요.

지금부터 사용 방법 및 무슨 아이템을 팔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무엇을 사고 무엇을 팔 수 있나요?

기본적으로 모든 것을 사고 팔 수는 없습니다.

게임에서 지원해주는 것만 거래가 가능한데요.

크게 2가지로 나뉘어집니다.

A. 게임의 아이템

B. 트레이딩 카드

A의 경우 게임의 아이템은 패키지 게임에서는 통용되는 것은 아니고

인앱 결제가 있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이 거래가 가능합니다.

대표적인 게임으로 도타, 배틀그라운드, CS:GO 등등이 있습니다.

자신이 플레이하고 있는 게임에 판매 가능한 아이템이 있는지 확인하고 싶으면

커뮤니티의 장터로 이동해서 (커뮤니티를 클릭하지말고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메뉴가 나오는데 장터가 있습니다.)

장터에 있는 게임 리스트를 보시면 됩니다.

B는 트레이딩 카드인데 이건 유료로 구매하는 게임에는 기본적으로 트레이딩 카드 시스템이 들어가 있습니다.

이는 게임을 플레이하면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는 아이템인데요. 무료 게임 또는 유료게임이지만 무료로 받은 게임에서는 획득하지 못합니다.

내가 트레이딩 카드를 가지고 있는지와

내가 가진 게임에서 트레이딩 카드를 획득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싶으면 라이브러리의 자신의 게임으로 가서

트레이딩 카드 항목을 확인해보면 됩니다.

상당에 저는 더이상 카드를 획득할 수 없다고 나오는데 카드가 획득 가능한 경우 장수가 표시됩니다.

획득 가능한 카드가 있는 경우 플레이를 하면 자연스럽게 획득되므로 그냥 플레이해주시면 됩니다.

이미 획득한 카드는 이렇게 리스트에 표시가 됩니다.

 

2. 어떻게 사고 팔 수 있나요?

자신이 팔 수 있는 물품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장터에서 판매하기를 눌러 보는 것입니다.

장터로 이동해(커뮤니티를 클릭하지말고 마우스를 올려두면 장터 메뉴가 나옵니다.) 아이템 판매를 눌러보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내가가진 아이템 중 거래가 가능한 것만 표시가 됩니다.

저에게는 판매 가능한 4장의 트레이딩 카드와 (윗 사진)

배틀그라운드 아이템 4개가 있습니다.

예시로 배그 총기 스킨을 팔아볼게요~(트레이딩 카드도 동일합니다.)

하나를 클릭해서 선택합니다.

시작 가격을 보면 147.38원이라고 나오네요 ㅎㅎ

24시간동안 1239개가 판매되었다고도 나옵니다.

이 뜻은 지금 올라온 아이템 중 최저가가 147.38원이라는 뜻인데요.

24시간동안 활발하게 판매되었으므로 비슷한 가격으로 올리면 바로 판매가 될 것입니다.

판매 버튼을 눌러봅니다.

여기서 받게 될 금액을 입력하게 되면

구매자가 지불하는 금액이 자동으로 표시가 되는데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아까 확인한 147.38원입니다.

구매자가 지불하는 금액이 147.38원보다 높으면 판매가 안되거나 좀 더 늦게 판매될 수 있고

낮으면 더 빨리 판매가 됩니다.

되도록 시세에 맞춰 판매해줍니다

128을 입력했더니 147.20원이 표시되었네요 그럼 최저가보다 살짝 낮으니 제일 먼저 판매될 것입니다.

체크 박스를 체크하고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장터의 내 판매 내역에 바로 리스트가 올라옵니다.

아마도 금방 팔릴꺼에요~

판매가 완료되면 제 스팀 지갑으로 금액이 추가되어있습니다.

이게 팔리겠어 싶겠지만 이렇게 판매가 됩니다.

보시면 제가 모자이크 해둔 부분이 판매된 내역인데요.

800원자리도 있고 2900원짜리도 있습니다. 대부분은 100원 미만

심지어 10원 미만도 많지만 종종 대박 상품들도 있습니다.

대단한 돈을 버는 것은 아니지만 이것으로 스팀에서 게임 구매할 때

조금은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트로아크 사용법 완벽 정리(RetroArch)  (1) 2023.12.28
레트로아크 안드로이드 사용법 완벽정리  (1) 2023.12.28
APK파일 추출하기  (0) 2022.02.06
반응형

아쉽게도 저는 ps5 가 아직 없어서

ps4를 리모트하는 법을 공유드립니다.

ps4(그냥 4, 프로, 슬림 모두 동일)를 리모트하기 위해서는

듀얼쇼크4의 연결이 필수입니다.

1.본체 설정하기

먼저 ps4의 설정을 들어가서

리모트 플레이 접속설정을 들어갑니다.

(스샷을 찍기 쉽게 리모트에서 찍었지만 이때는 리모트가 안되서 본체에서 접속해야합니다)

여기서 리모트 플레이 활성화하기를 체크해줍니다.

vita나 PS TV가 있으신 경우 아래 내용도 체크해줍니다.

그 다음 기기 등록하기를 누르면 코드가 나오는데 이 코드는 조금 이따가 사용할 예정입니다.

2. pc에서 리모트 하기

위의 사이트에 들어가서

앱설치하기 항목에 가면 개인정보 처리 방침에 동의하는 체크박스가 있는데 체크하면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설치 파일을 설치한 뒤 ps4에 로그인된 계정과 동일한 계정에 로그인해주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저는 ps4뿐이 없어서..ps5도 비슷할 것입니다.

이쯤 듀얼쇼크4를 usb로 pc에 연결하고 ps4를 누릅니다.

1차적으로 자동으로 ps4를 찾습니다. 찾으면 땡큐 안되면 수동으로 등록하기를 눌러줍니다.

아까 본체 설정할 때 나온 그 코드 8자리를 여기 입력해줍니다. 그럼 등록이 되고 리모트가 실행됩니다.

한번 접속한 이력이 생기면 이렇게 나중에는 목록에 접속한 ps4가 나와있게 됩니다.

ps4환경과 유사하게 리모트가 되지만 리모트의 경우 720p기때문에 실제 게임을 실행하면 조금 해상도가 낮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핸드폰에서 리모트하기

우선 핸드폰과 듀얼쇼크4를 블루투스로 연결해야합니다.

(다만 모바일은 듀얼쇼크4가 없어도 터치 스크린으로 연결이 가능하니 필수는 아닙니다.)

듀얼쇼크의4 share버튼과 홈버튼을 함께 꾹 누르고 있으면

듀얼쇼크4의 불빛이 깜빡입니다.

그때 핸드폰의 블루투스에 뜬 목록에서

wireless controller를 선택해 연결해주면

듀얼쇼크4의 불빛이 파란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playstation.remoteplay

 

PS Remote Play - Google Play 앱

어디서든 PS5 또는 PS4를 이용하세요.

play.google.com

 

리모트 앱을 설치해 로그인해줍니다.

( ps4와 동일한 아이디로 해야합니다.)

내용은 PC와 동일합니다.

네트워크에서 ps4를 서칭하고

없으면 수동입력을 통해 키값을 입력해주면 ps4를 인식합니다.

다만 모바일인 만큼 설정해야하는 것이 있는데요.

 
 

1번의 설정을 누른 뒤

2번의 모바일 데이터에 들어가서

3번의 체크를 통해 모바일 데이터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가 꺼져있으면 모바일 데이터로는 플레이가 되지 않으니 주의해야합니다.

핸드폰은 리모트를 실행하면 보안 정책으로...스샷을 못찍어서 인터넷에서 구한 이미지로 대신합니다 ㅎㅎ

728x90
반응형

Xbox one과 xbox series X/S를 가지고 리포트 플레이를 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리모트 플레이는 게임패스를 통한 클라우드 플레이와는 다르게

자신이 가진 콘솔을 핸드폰이나 PC를 통해 접속해서 플레이하는 것입니다.

PS4/5의 리모트 플레이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본체 설정하기

본체의 설정에 들어가

연결 &장치의 항목에 있는 원격 기능을 들어가줍니다.

그 다음 원격 기능 사용의 체크 박스에 체크가 되어있어야만 원격 제어가 가능합니다.

PC에서 리모트 하기

윈도우 10이상의 컴퓨터라면 아마 자동으로 xbox 앱이 설치되어있습니다.

만약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microsoft store 앱을 실행합니다.

xbox를 검색해서 설치해주고 실행합니다.

이미 설치되어이쓰면 바로 앱을 실행해줍니다.

PC에서 원격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xbox 패드가 필요한데요.

XBOX Series X/S의 패드는 블루투스가 있으면 바로 PC와 연결이 가능합니다.

저는 XBOX Series S의 패드를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사용하였습니다.

다른 유선/무선 호환패드로 조작이 가능한지 여부는 저도 ㅜㅜ 확인이 어렵습니다.

왼쪽 윗줄에 사람모양을 눌러 로그인을 해줍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본인의 콘솔에 로그인된 계정과 같은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야만 합니다.(당연한 이야기)

그럼 새로운 모양의 콘솔 아이콘이 생기는데요.

누르면 아래와 같이 콘솔 리스트가 뜹니다. (1개면 하나가 뜹니다.)

그러면 원격 제어가 시작됩니다!

PC에 연결된 xbox패드로 잘 조작이 됩니다.

당연히 콘솔과 멀리 떨어져있기 때문에 리모트를 하는 것이지만

PC에서 리모트를 하게 될 경우 스크린샷 찍기도 쉽고

obs등을 통해 화면 녹화도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콘솔에서 바로하는 것에 비해서는 해상도도 떨어지고

거의 없지만 인풋렉도 아주 조금은 존재하므로

당연히 콘솔이 있다면 콘솔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ㅎㅎ

모바일에서 원격제어하기

앱스토어에서 xbox앱을 설치한 뒤

실행하여 XBOX콘솔과 동일한 계정을 로그인해줍니다.

상단에 콘솔 아이콘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요

제가 가장 헷갈렸던 부분인데

여기서 본체 설정을 눌러야할 것 같은 느낌같은 느낌의 버튼설정이지만

이 장치에서 원격 플레이가 적힌 곳을 누릅니다.

전혀 버튼같이 생기지 않았지만 위에 3개도 각각의 버튼입니다.

(저는 이게 가장 헷갈렸습니다)

그럼 리모트가 되는데 역시 컨트롤러 연결이 필수입니다.

저는 gamesirx2를 연결해서 진행했는데

모든 키가 잘 먹습니다.

PC와 모바일 모두

본체에서 하는 것과는 조금은 느낌이 달랐지만

모두 편안하고 쾌적하게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었습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