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양덕의 힘은 대단합니다.

안드로이드로 출시된 FF3과 FF4의 3D리메이크버전 (안드로이드의 경우 닌텐도DS로 나온 것을 이식한 것입니다.)을 vita에서 즐길 수 있게 포팅해준 양덕이 나왔습니다.

당연히 vita로는 FF3과 4편의 3D리메이크는 물론 그냥 3편과 4편, 픽셀리마스터 3편과 4편 모두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출시되지 않은 게임을 vita로 포팅을 하려면 당연히 헨카쿠가 되어있어야합니다.

헨카쿠 관련 질문은 받지 않습니다!

https://github.com/Rinnegatamante/ff4_vita

여기서 자세한 설명이 나와있는데요.

영어가 되시는 분은 바로 보고 하셔도 되고

저는 영어가 안되지만 번역기의 도움을 받아 진행한 부분을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기본적으로 3편과 4편 모두 방법은 동일합니다.

그리고 안드로이드 마켓(플레이스토어겠죠)에서 FF3편과 4편을 구매하셔야

파일을 추출하실 수 있습니다.

3편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square_enix.android_googleplay.FFIII_GP

혹시라도 픽셀 리마스터를 구입하시면 절대 포팅이 안됩니다. 꼭 3D리메이크 버전을 구입하셔야합니다.

비타 준비하기

그 전에 우선 비타에 준비물을 확인해보겠습니다.

헨카쿠가 적용된 비타에

설정 - 시작 - 시스템 - Playstation mobile 메뉴로 이동합니다.

그럼 psm 런타임 패키지라는 것이 표시되는데 버전이 2.01이어야합니다.

여기까지 문제가 없다면

https://github.com/ONElua/AutoPlugin2/releases

이 사이트에 이동해서

AutoPlugin2.vpk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줍니다.

그 다음

Releases · OsirizX/ShaRKF00D · GitHub

이 사이트에 이동해서

ShaRKF00D.vpk

을 다운로드 받아줍니다.

그 다음

https://github.com/frangarcj/ff3_vita/releases

여기에 접속해서

FF3.vpk

을 받으시고

https://github.com/Rinnegatamante/ff4_vita/releases

여기에 접속해서

FF4.vpk

파일을 받습니다.

그럼 총 4개의 vpk파일을 받으셨는데요. 비타에 넣어줍니다.

안드로이드 폰에서 게임 추출하기

다음으로 핸드폰에서 파일을 추출해야하는데요.

먼저 ff3과 ff4의 APK 파일 추출이 필요합니다.

2022.02.06 - [게임] - APK파일 추출하기

해당 글을 읽고 APK파일을 추출합니다.

그 다음 OBB파일을 추출해야하는데요.

개발자들이 알려주길 보통 아래의 폴더에 있다고 합니다.

android/obb/com.square_enix.android_googleplay.FFIV_GP/

android/obb/com.square_enix.android_googleplay.FFIII_GP/

저의 경우 내장 메모리만 있는 핸드폰이라 내장 메모리의 경로에 있었는데

외장 메모리를 사용하시는 경우 외장 메모리에 있을 수 있으니 내장과 외장의 확인이 모두 필요합니다.

OBB파일과 APK파일을 받아 PC로 옮겨줍니다.

PC에서 작업하기

PC에 FF3폴더와 FF4폴더를 만들어줍니다.

OBB파일의 이름이 몹시 긴데요. main.obb로 줄여서 각각의 폴더에 넣어줍니다.

3편은 3편 폴더, 4편은 4편 폴더에 넣으시면 됩니다. ㅎㅎ

그리고 APK파일이 압축프로그램으로 열리는데요.

혹시라도 더블클릭할 때 녹스같은 에뮬이 실행된다면

마우스 우클릭 후 연결 프로그램에서 알집과 같은 압축프로그램을 선택해주시면

압축프로그램에서 열립니다.

압축을 풀면 여러 폴더가 있는데요. 모든 파일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lib-armeabi-v7a 폴더로 이동합니다.

그럼 이렇게 파일이 3개 있는데요.

libff3.so파일이 필요합니다. (4편은 libff4.so)

파일을 각각 FF3폴더와 FF4폴더에 넣어줍니다.

그리고 이 FF3폴더와 FF4폴더를 vita의 ux0:date 안에 넣어줍니다.

FF3폴더는 libff3.so파일과 main.obb파일이 있을 것입니다.

FF4폴더는 libff4.so파일과 main.obb파일이 있을 것입니다.

vita에서 마무리

모든 준비물은 다 옮겼습니다.

AutoPlugin2.vpkShaRKF00D.vpk 먼저 설치합니다.

바탕화면에 AutoPlugin2버블을 먼저 실행합니다.

파란 메뉴가 나옵니다

vita plugins를 선택합니다.

install plugins를 선택합니다.

플러그인 메뉴가 주르륵 나올거에요~

FdFix by TheOfficialFloW v1.0을 설치해줍니다.

그 다음

Kubridgev.01 by TheOfficialFloW을 설치해주고

AutoPlugin2을 종료합니다.(기기가 재실행됩니다.)

그 다음 ShaRKF00D을 실행하면 이것저것 메시지가 잔뜩나오다가 자동으로 꺼집니다.

여기까지 했으면 이제 ff3.vpk와 ff4.vpk를 설치합니다.

그럼 각각 버블이 생성됩니다.

각각의 버블을 실행하시면 게임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버블

3편 실행화면

한글이 잘 나옵니다.

아무버튼이나 누르라고 하지만 O를 누르면 안넘어간다는...

사진찍느라 잔상이 보이지만 잘 작동되는 것이 맞습니다.

4편 실행화면

4편도 한글이 잘 나옵니다.

4편도 잘 실행됩니다.

추가로 오프닝 영상이 재생이 안되는데요.

APK파일에 있는 오프닝 영상을 720p로 변환하여 폴더에 넣어주면

오프닝 영상까지 재생이됩니다.

다만 없어도 실행에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오프닝 영상은 APK파일을 압축을 풀면

res/raw/ 안에 opening.mp4파일입니다 (두 게임 모두 동일)

720p로 변환해서 각각 비타의 FF3 / FF4폴더에 같이 넣어주시면됩니다.

저는 이 작업은 안해서 오프닝은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두 게임을 포팅한 양덕이

이후에 작업할 게임리스트를 공개했는데요.

https://android.rinnegatamante.it/

 

Android to PSVITA Candidate Ports List

 

android.rinnegatamante.it

크로노 트리거도 후보에 있습니다.

어서 나오길 기대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FF5의 안드로이드 버전도 vita로 포팅되었습니다.

Release Final Fantasy V Vita 1.0 · frangarcj/ff5_vita · GitHub

방법은 위에 설명드린 방법과 동일합니다.

위의 작업을 다 하셨다면

APK파일에서 lib과 obb파일 추출하여 넣고

FF5.vpk

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다만 제가 구입을 안해서 파일이 없어서 ....포스팅은 하지 못했습니다.

한글도 잘 나온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오늘은 핸드폰에 설치된 앱을 APK파일로 추출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PC로 따지면 EXE파일을 통해 설치한 앱을 EXE파일로 추출하는 것과 같은데

PC에서는 당연히 불가능합니다 (예를 든거지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ㅎㅎ)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시 받으면 되는데 왜 APK파일을 추출하느냐!!!

라고 물으실 수 있는데요.

맞습니다. 한번 다운로드 받은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APK파일을 추출할 필요 없이 대부분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그럼 언제 APK파일을 추출할까요?

앱이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더이상 없을 때..

아니면 핸드폰이 아닌 기계 (안드로이드 TV나 테블릿)에

핸드폰에서 사용하는 앱이 플레이스토어에서 노출되지 않을 때

또는 앱의 버전이 높아졌는데 구버전을 계속 사용해야할 때

APK파일의 추출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은 필요 없지만 꼭 필요한 사람이 있기도 한 것이죠 ㅎㅎ

다만 APK파일을 추출한다고 해서 꼭 해당 APK파일이 정상적으로 잘 작동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사용하지만 APK파일 추출을 믿고 원본이 되는 앱을 맘대로 삭제하시면 안됩니다!!

자 이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alphainventor.filemanager 

 

파일 관리자 - Google Play 앱

쉽고, 빠르고, 사용하기 편한 다양한 기능을 갖춘 파일 관리자 앱. 클라우드 지원.

play.google.com

 

파일 매니저라는 앱을 설치합니다.

위의 링크를 누르시면 구글 플레이스토어로 바로 이동합니다~

이 앱이니까 혹시라도 다른 것을 설치하시면 안되진 않겠지만 방법이 다릅니다 ㅎㅎ

실행하시면 이런 화면 나옵니다.

(그 전에 권한을 물어볼 수 있는데 당연히 권한을 주셔야합니다.)

앱을 선택해줍니다.

내가 선택한 앱이 모두 표시되는데요.

백업할 앱을 선택해 꾹 눌러주면 아래와 같이 메뉴가 생깁니다.

백업을 선택해줍니다.

그런 순식간에 백업이 완료되었다고 나옵니다.

경로가 스치듯 지나가는데요.

걱정하지마세요

내장 메모리의 backups폴더의 apps안에 있습니다.

제가 백업한 APK파일이 잘 보입니다.

이런식으로 백업하신 APK파일을 용도에 맞게 쓰시면 되는데요.

말씀드린 것처럼 백업한 APK파일이 잘 작동하는지는 실제로 설치해봐야알 수 있습니다.

안되는 이유는 알 수 없는게 대부분이지만

예를 들면 해당 APK파일이 잘 설치되도 서버에서 이상을 감지해 설정 파일들을 내려주지 않으면

작동을 안할 수 도 있습니다.

이건 앱마다 다 다르기때문에 명확하게 된다 안된다를 알려드리기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APK파일은 정상 추출이 된 것입니다.

그럼 용도에 맞게 APK파일 추출에 꼭 성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xbox play anywhere은 엑스박스로 구매한 게임을 pc에서도 즐길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반대도 가능합니다.

다만 모든 게임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고

지원하는 게임이 따로 존재하는데요.

xbox play any where을 지원하는 게임을 구매할 경우 xbox 와 pc에서 모두 즐길 수 있기때문에 나중에 xbox를 처분하더라도 라이브러리에있는 게임을 pc에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여러 플랫폼을 사용하시는 유저의 경우 중복구매를 할필요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구매하는 방법은 간단한데요.

이렇게 xbox의 게임 구매 페이지에 가면 지원하는 게임은 xbox play anywhere이라고 표시됩니다.

https://www.xbox.com/ko-KR/games/xbox-play-anywhere

아니면 이렇게 지원하는 게임목록을 사이트에서 한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xbox play anywhere의 대표게임은

레이싱게임의 최고봉 포르자시리즈와 gears시리즈가 있으며 최근에 나온 헤일로 인피니티!!!가 xbox play anywhere을 지원하기도 합니다.

지원하는 게임수가 적은 것이외에는 딱히 단점이 없는데요. 할인도 자주하고 xboxplayanywhere라고 비싼것도 아니라서 지원게임을 구입한다면 xbox를 통해구입하거나 윈도우스토어로 구매하는게 좋습니다.

그렇습니다.

단점이 딱하나있는데 xboxplayanywhere은 스팀을 지원하지않습니다.

윈도우스토어(정확히는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라이브러리에 등록이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는 윈도우10에는 모두 자동으로 설치되어있는데요

 

검색해서 찾으신 뒤 실행하면

이렇게 스토어가 나오는데요.

엑스박스와 같은 계정으로 로그인되어있어야합니다.

라이브러리에 보시면 xbox에서 구매한 기어즈4편과5편 그리고 레지던트이블7편이 설치(플레이)가능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요약

1. xbox와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는 같은 계정필수

2. xbox스토어에서 xbox play anywhere이 표시된 게임 구입(반대도 가능)

3. pc의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라이브러리에서 구입한 게임 확인 가능(반대도 가능)

장점

1 두개의 플랫폼에서 게임플레이가능

2 클라우드로 플랫폼간 저장 연동

3 xbox를 처분해도 pc에서 게임가능

단점

1. 지원게임이 적음

2. 스팀이 아닌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를 지원

728x90
반응형

위는 모션 센서와 위모트라는 독특한 컨트롤러가 합쳐져서

움직이며 게임을 즐기는 방식을 널리 퍼트린 게임기입니다.

광고에서도 게임보다는 움직임(운동)을 강조해서 대중적으로 널리 퍼진 게임기입니다.

이런 위의 게임을 PC로 즐기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준비물이 필요한데요.

모션을 인식해야하는 게임이 많다보니 다른 에뮬레이터와는 다르게 전용 컨트롤러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준비물

돌핀바 : 위의 센서를 대신하여 PC에서 모션을 인식해주는 센서 겸 블루투스 연결 기기입니다.

위모트 : 위의 전용 컨트롤러인데 가품을 구매할 경우 인식을 할 수도 있고 안할수도 있습니다. 정신건강을 위해 정품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 준비물이 구비되었다면 PC용 돌핀 에뮬레이터를 받아줍니다.

https://ko.dolphin-emu.org/download/?ref=btn

 

돌핀 에뮬레이터 - 다운로드

Development versions are released every time a developer makes a change to Dolphin, several times every day! Using development versions enables you to use the latest and greatest improvements to the project. They are however less tested than beta versions

ko.dolphin-emu.org

 

접속하면 개발 버전과 베타버전 그리고 안정된 버전이 있는데

베타 버전의 가장 최신 버전을 받으면 됩니다.

그 다음 돌핀바를 PC에 연결합니다.

돌핀바 뒷쪽을 보면 아래 사진과 같이 되어있는데요.

top 과 bottom은 센서를 모니터 위에 둘 것인지 아래 둘 것인지 선택하는 것이고

반대편 스위치는 파워입니다.

파워를 켜주고 top 과 bottom을 선택해 돌핀바를 셋팅해줍니다.

이게 잘 안보이는데 ㅋㅋ

모드 버튼을 눌러 4번으로 맞춰줍니다.

그 다음 반대편에 있는 SYNC버튼을 누르는데요 그럼 파란 불이 깜빡입니다.

위모트의 건전지 부분에 저 빨간 버튼을 누르면 위모트가 돌핀바랑 통신해서 연결이 됩니다.

연결이 잘 되면 이렇게 컨트롤러 번호에 불이 들어옵니다.

1p로 잡힌 것이지요 ㅎㅎ

그럼 이제 다운받은 돌핀을 실행합니다.

Dolphin.exe를 실행합니다.

옵션에 환경설정을 눌러줍니다.

경로에서 게임폴더 경로를 지정해주면 경로에 있는 게임이 리스트에 추가됩니다.

WII탭으로 이동합니다.

따로 건드릴 것은 없고 wii리모트 설정에서 센서바 위치를 설치한 위치와 동일하게 맞춰줍니다.

그 다음 환경설정은 종료하고

옵션- 컨트롤러 설정을 눌러줍니다.

wii리모트 항목에

wii의 블루투스 어탭터를 에뮬이 체크되었는지 보고

wii리모트 1이 실제 wii리모트로 되어있는지 봅니다.

그 다음 게임을 실행시켜줍니다.

안내 문구에 맞춰 리모트를 잘 잡아줍니다 ㅎㅎ

리모트를 인식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정품 위모트이면 여기까지 따라오면 당연히 잘 인식이 됩니다.

(위모트를 화면이 아닌 센서를 향해 움직여야합니다. 따라서 센서의 위치를 잘 설정해야합니다.)

위모트에는 스피커가 내장되어있는데요

여기로 소리가 나오기도 합니다. (근데 엄청 깨집니다)

이때는 여기서 스피커 데이터 활성화를 풀어주시면 위모트에서는 소리가 안나오게 됩니다.

간혹 눈차크가 필수인 게임이 있는데요.

별다른 설정 없이 위모트에 눈차크를 연결해주시면 바로 인식을 합니다.

메트로이드 프라임같은 게임이 눈차크를 필요로 하는 게임입니다.

자 여기까지 진행을 해보았는데 뭐가 잘 안된다...하시는 분들은 몇가지 사항을 체크해보면 되는데요.

위모트가 정품이 아닌 경우 간혹 연결은 되는데 돌핀에서 인식을 못하기도 합니다.

만약 연결은 되었는데 돌핀에서 작동을 안하는 경우 돌핀바의 모드를 2번으로 변경하고 나서 (잠시 뭐가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마우스가 움직이는지 체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번 모드는 위모트를 마우스로 인식하게 해주는 모드입니다.

2번 모드에서 마우스가 움직이는데 4번 모드에서 돌핀에서 인식이 안되는 것은

위모트의 문제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