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많은 분들이 사용하시는 스팀!

스팀은 게임 장터이기도하지만 게임 런처이기도합니다.

하지만 스팀을 사용하다보면 스팀이 아닌 게임은 다소 실행이 귀찮아지기도 하는데요.

이런 유저들을 위해 스팀에 비 스팀 게임을 등록해 간단하게 실행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라이브러리 하단에 + 게임 추가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비 steam게임 추가 버튼이 있습니다.

누르면 자신에게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이 주르르르 나옵니다.

에뮬레이터와 같이 설치하지 않고 쓰는 프로그램인 경우

찾아보기를 통해 exe파일을 등록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런 비 steam 게임 등록하기를 통해 게임을 등록해보면..

도무지 멋대가리가 없습니다....

아트워크가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부분을 깔끔하게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바로 스팀 롬 매니저입니다.

스팀 롬 매니저를 사용하면 하나 더 편리한 것이 있는데

스팀에 에뮬레이터가 아닌 롬을 바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yuzu라는 스위치 에뮬레이터가 아닌

젤다의 전설을 바로 등록해

실행하면 yuzu를 통해 바로 젤다가 실행되도록 등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자 그럼 바로 사용법을 간단하게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먼저 다운로드를 받아야하는데요.

https://github.com/SteamGridDB/steam-rom-manager/releases

 

Releases · SteamGridDB/steam-rom-manager

An app for managing ROMs in Steam. Contribute to SteamGridDB/steam-rom-manag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패당 페이지에 접속해서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많은 파일이 있는데 윈도우라면

Steam-ROM-Manager-portable-2.3.29.exe

이 파일 추천합니다.

설치가 없이 바로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클릭해서 다운로드 받은 뒤에 실행해줍니다.

추가 정보를 눌러줍니다.

그 다음 실행해주세요~

실행하면 먼저 왼쪽 탭에서

parsers를 선택해줍니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저는 yuzu를 통해 실행되도록 젤다를 선택할 예정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yuzu가 먼저 설치되어 있어야하고

yuzu를 통해 젤다가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이 먼저 되어있어야합니다.

(레트로 아크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롬을 실행하는 코어등이 다운로드 되어있어야합니다.)

yuzu사용법은

다시 돌아와서

첫번째 community presets을 선택합니다.

누르면 리스트가 주욱 나오는데 nitendo switch - yuzu를 선택합니다.

다음 Executable에 브라우저 버튼을 누릅니다.

창이 열리면 유쥬의 실행exe파일을 찾아가야하는데요.

yuzu파일의 실행파일 위치는

yuzu의 단축아이콘을 마우스 우클릭해서 속성을 들어간 뒤에

대상을 보면 해당 위치에 있습니다. 찾아가서

yuzu.exe 파일을 선택해줍니다.

그 다음은 ROMs directory를 가서 브라우저를 눌러줍니다.

이번에는 롬이 있는 경로를 선택하는 것인데요.

경로를 지정해줍니다. (롬파일을 선택하는게 아니라 롬이 있는 경로 설정)

롬이 여러개 있으면 여러개 등록되니 되도록 롬을 몰아서 한번에 해결합니다.

그 다음 스팀 디렉토리인데요.

steam.exe가 있는 디렉토리를 찾아 연결해줍니다.

동일하게 스팀 단축아이콘을 마우스 우클릭해서 속성을 누르면

위치가 나옵니다.

폴더를 연결해줍니다.

그 다음 save를 눌러줍니다

그럼 왼쪽 parsers 아래 등록한 내용이 나오고

save옆에 메뉴가 많이 생깁니다.

왼쪽 탭에 preview를 눌러줍니다.

혹시라도 스팀이 실행되어있으면 완전 종료해줍니다.

빈 화면이 나오면 정상입니다.

generate app list를 눌러줍니다.

저는 이렇게 젤다 2개를 롬 폴더에 넣어놔서 한번에 2개의 젤다가 생성되었습니다.

 

save app list를 눌러줍니다.

우측하단에 동일하게 메시지가 나오면 정상 등록입니다.

이제 스팀을 실행하고 라이브러리를 가줍니다.

라이브러리에 게임과 함께 아트웍이 자동으로 등록되어있습니다.

플레이를 눌러줍니다.

yuzu가 전체화면으로 바로 롬이 실행될 것입니다. 그럼 성공입니다!

728x90

'게임 > pc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팀에서 듀얼쇼크 사용하기  (0) 2022.01.04
pc에서 듀얼쇼크4 사용하기  (0) 2022.01.04
반응형

안드로이드 전용이지만 핸드폰으로 닌텐도 스위치 에뮬레이터가 나오긴 했습니다.

해당 사용법은 아래의 글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https://emuland.tistory.com/11

 

안드로이드 닌텐도스위치에뮬(eggns 2.1.6)

​ 준비물 전용 조이스틱 (클릭 : 링크가모바일에서만 작동합니다.) 고사양 핸드폰 (리스트 보기) 전용 에뮬 ​ 먼저 전용 조이스틱이 필요합니다. gamesirX2라는 조이스틱인데 C type만 가능합니다.

emuland.tistory.com

하지만 단점이 너무 많습니다.

1. 안드로이드에서만 된다.

2. 전용 컨트롤러(약 5~6만원)이 필요하다.

3. 고사양 핸드폰에서만 된다.

4. 중국 어플을 설치해야한다.

5. 최적화된 게임이 적다.

특히 이 모든 단점을 극복하더라도 핸드폰의 발열 이슈때문에

결국은 활용도가 낮은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좀 더 낮은 사양의 폰에서

전용 컨트롤러 없이 내가 가진 컨트롤러로 (또는 터치 조작으로)

최적화된 게임을 즐길 수 없을까를 고민했는데요.

많은 분들이 이에 대한 해답으로 스팀 링크를 통해 스위치 게임을 즐기는 방법을 사용하고 계십니다.

이를 위해서는 아래의 조건이 성립해야합니다.

1. PC가 닌텐도 스위치 에뮬레이터를 돌릴 성능이 되어야한다.

2. 스팀 계정이 있어야한다.

3. 리모트 플레이를 하는 만큼 와이파이를 이용하거나 데이터량이 충분해야한다.

이 3가지 조건이 해결되면 스팀링크를 통해 닌텐도 스위치 게임을 PC에서 구동하고 이를

스마트폰에서 리모트해서 즐기실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다, IOS모두 가능)

자 그럼 어떻게 하는지 하나하나 알려드리겠습니다.

1. PC에 닌텐도 스위치 에뮬레이터를 설치한다.

이는 다소 긴 내용이라 별도의 글로 설명드렸습니다.

링크의 글을 확인해주세요.

https://emuland.tistory.com/4

 

 

닌텐도 스위치 에뮬레이터yuzu (22년 1월 2일버전) 설치 및 사용법

https://yuzu-emu.org/downloads/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페이지 가장 아래 녹색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설치 파일이 다운로드됩니다. 설치 파일을 실행합니다. 얼리 억세스는 후원자 전용 버전

emuland.tistory.com

 

2. 닌텐도 스위치 게임을 스팀에 추가 한다.

스팀 롬 매니저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스팀에서 특정 에뮬레이터를 통해 게임이 바로 실행되도록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 내용도 별도의 링크로 내용을 대신합니다.

https://emuland.tistory.com/13

 

 

steam rom manager (스팀 롬 매니저 사용법)

많은 분들이 사용하시는 스팀! 스팀은 게임 장터이기도하지만 게임 런처이기도합니다. 하지만 스팀을 사용하다보면 스팀이 아닌 게임은 다소 실행이 귀찮아지기도 하는데요. 이런 유저들을 위

emuland.tistory.com

 

3. 스마트폰에 스팀 링크를 설치한다.

이 내용부터는 설명해드릴께요~

위에 두 가지를 통해 PC에 닌텐도 스위치 에뮬레이터도 설치하고

스팀 롬 매니저를 통해 스팀에서 바로 실행되도록 설정도 하셨다면

스마트폰에 스팀 링크를 설치해야합니다.

그 전에 우선 스팀을 실행해서 설정을 들어갑니다.

왼쪽 탭에 Remote Play를 선택한 뒤 사진과 같이

Remote Play활성화 체크 박스에 체크가 되어있는지 확인해주세요.

혹시 체크가 안되어 있으면 체크를 해줍니다.

저는 연결된 기기가 하나 있는 것으로 나오는데요.

아마 처음하시면 완전 비어있으실 거에요.

그 다음 핸드폰에 steam link를 받아줍니다.

구글과 애플 모두 앱스토어에서 검색해서 받으시면 됩니다.

그다음 스팀 링크를 PC와 같은 인터넷 망에서 실행해줍니다.

시작하기를 누르시면

같은 인터넷 망에 있는 스팀이 설치된 PC를 찾아줍니다.

컴퓨터를 선택해주면 인증코드가 나오는데요.

스팀을 보면 아래의 창이 떠있을 것이에요.

인증코드를 입력해주면

연결이 완료되고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만약 PC가 자동으로 서칭되지 않는다면

이 화면에서 다른 컴퓨터를 눌러주세요.

그럼 인증코드가 나옵니다.

스팀의 설정을 연 뒤에

STEAM LINK 연결을 눌러주시면 인증코드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인증코드를 넣으면 연결이 완료됩니다.

자 여기까지 오셨으면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는데요.

이제 아래 화면에서 플레이 시작을 눌러줍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스팀링크를 통해 스팀 게임이 리모트 됩니다.

 

근데 저희가 추가한 스위치 게임은 보이지 않습니다.

이유는 기본적으로 remote play에 최적화된 게임만 표시되는 옵션이 체크되어있기때문인데요.

가장 우측 필터에서 remote play최적화 완료 필터의 체크를 풀어줍니다.

그럼 감춰진 게임이 좀 더 보여지게됩니다.

왼쪽 리스트에서 모든게임으로 이동하면 스팀에 등록된 모든 게임이 보여집니다.

우리가 스팀 롬 매니저로 등록한 게임도 보여질 것입니다.

저는 젤다를 등록했는데요.

젤다를 선택해줍니다.

그럼 이렇게 게임 항목으로 들어오게 되고 시작을 눌러줍니다.그럼 게임이 실행되는데요.

젤다를 조작하기에는 현재 표시되는 터치패드의 버튼이 다소 부족합니다.

왼쪽 위에 터치패드 모양을 눌러주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나옵니다.

여기서 레이아웃 컨트롤을 눌러주면 부족한 L1,2 R1,2 아날로그 스틱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스팀 링크를 통해 젤다가 실행됩니다!!!(두둥)

하지만....ㅜㅜ 스위치 게임을 터치 스크린으로 실행하면 너무 힘들겠죠?

터치 스크린으로 실행할 경우는 간단한 조작이 들어간 게임이 적당할 것 같아요.

아니라면 패드를 연결해주는게 좋습니다.

자신이 가진 패드를 핸드폰에 연결해줍니다.

오른쪽 위에 톱니바퀴(설정)을 눌러줍니다.

설정에서 컨트롤러를 눌러줍니다.

그럼 연결한 컨트롤러가 나오는데요. 먼저 터치 컨트롤러를 선택해준 뒤

터치 사용 안함을 눌러줍니다.

그럼 터치 컨트롤러가 비활성화됩니다.

그 다음 연결된 조이스틱을 선택한 뒤 컨트롤러 설정을 통해 키를 매칭시켜줍니다.

(마지막에 5가지 키는 저는 버튼이 없어 할당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컨트롤러 테스트로 입력이 잘 되는지 확인합니다.

문제가 없으면 왼쪽 위 화살표를 눌러 처음화면으로 돌아옵니다.

이 상태로 실행하면 터치스크린이 아닌 컨트롤러로 실행됩니다.

화면도 터치 레이아웃이 없어 더 깔끔하죠 ㅎㅎ

주의사항!!

주의사항이 몇가지 있습니다.

첫번째는 데이터 사용량을 조심해야합니다.

리모트 플레이, 클라우드 플레이는 모두 데이터를 소진하기때문에 조심해야합니다.

두번째는 리모트 플레이라는 점입니다.

스팀링크를 종료할 때 그냥 앱만 꺼버리면 PC혼자서 계속 실행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트리밍 옵션에서

파워 모양 아이콘에 가서 게임 중지를 한 뒤 Remote play 중기를 해야만 정상적으로 종료가 됩니다.

스트리밍 옵션은 스위치의 - 키로 할당된 버튼을 꾹 누르시면 나옵니다.

진짜 스위치 에뮬이 PC사양을 그리 크게 요구하지 않아서

egg ns보다는 훨씬 퀘적하게 스위치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다만 스트리밍플레이라는 점을 늘 명심하시고 PC가 꺼져있으면

플레이가 불가능하다는 점

스트리밍 할때는 PC이용이 불가능하다는 점 등을 주의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모두 즐거운 게임 생활 즐기세요~

728x90
반응형

준비물

전용 조이스틱 (클릭 : 링크가모바일에서만 작동합니다.)

고사양 핸드폰 (리스트 보기)

전용 에뮬

먼저 전용 조이스틱이 필요합니다.

gamesirX2라는 조이스틱인데

C type만 가능합니다. 블루투스 버전을 사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제가 위에 적은 링크 또는 알리익스프레스등에서 검색해서 구입하시면 됩니다.

고사양 핸드폰은 기본적으로 스냅드래곤 855이상의 폰입니다.

다만 게임리스트의 테스트폰을 보면 스냅드래곤 888폰에서 테스트한 경우도 있어

855는 점점 더 어려워 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는 갤럭시S21 (그냥 버전)으로 테스트했습니다.

갤럭시S21은 스냅드래곤이 아니라 엑시노스2100입니다.

만약 고사양 핸드폰과 전용 컨트롤러가 없으시다면 이런 방법도 한번 추천드립니다.

여기 접속해서 2.1.6을 받아줍니다.

스위치 폴더를 받아야하는데요

스텝 2에 있는 링크에서 받아줍니다.

그럼 SwitchDroid.zip파일이 받아지는데요

압축을 풀어주면 SwitchDroid폴더가 생깁니다.

SwitchDroid폴더와

eggns_2.1.6B5.apk파일을 핸드폰에 옮겨줍니다.

SwitchDroid는 핸드폰의 저장소 가장 상위에 넣어주시고

eggns_2.1.6B5.apk는 원하시는 곳에 넣어서 설치해줍니다.

그 다음 핸드폰에 폴더를 하나 만들어서

게임파일을 넣어줍니다. 게임은 xci또는 nsp로 넣어주셔야합니다.

그 다음 설치된 eggns를 실행해줍니다.(패드가 연결된 상태여야합니다.)

약관에 동의 하시고

설정을 눌러서

date directory는 SwitchDroid가 있는 곳으로 연결해주시고 (루트에 넣었으면 별다른 설정 필요 없습니다.)

xci/nsp storage location은 게임파일이 있는 곳으로 연결해줍니다.

화면을 좀 더 내려서 language와 region을 korea로 변경해줍니다.

그럼 egg ns를 완전히 종료하고 재실행해주면

게임리스트가 보입니다.

참고로 games를 누르면 호환되는 게임이 보여질 것 같은데

저는 갤럭시s21 (엑시노스)라서 호환되지 않는 기계라고 표시됩니다.

설치된 게임을 터치하면 게임이 실행되는데

계정을 추가해야만 실행이됩니다.

회원 가입하셔서 계정 생성하시고 시작하시면 됩니다.

우선 몇몇 게임은 전용 폰트를 쓰는지 한글이 나오지 않습니다. 이는 실행해보기전에는 확인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름을 입력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는데 기존에 입력된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면 진행이 되는데 새로 입력하려고 하면 다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발열에서 자유롭지 못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다만 이전에 3월에 글을 적었을 때보다 너무나도 발전했습니다.

먼저 사운드가 잘 나옵니다.

3월에는 기계음만 나고 사운드를 들을 수 없었는데 사운드가 정상 출력됩니다.

(종종 안되는 게임들도 있습니다.)

제폰의 경우 정식지원폰이 아니라 실행 리스트에 A-Excellent로 표시된 꿈꾸는 섬은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로봇대전은 혼자 실행하는 것은 되지만 녹화를 누르면 꺼졌습니다..

자세한 실행 게임 리스트는 아래의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eggns.wordpress.com/2020/08/29/game-compatibility-list/

 

Game Compatibility List

* Note: Some games may be delayed or flashback in the process of running. This may be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phone, or it may be related to other unknown factors. Please give feed…

eggns.wordpress.com

3월만해도 사운드가 없어 실망했던 eggns인데 지금은 정말 스위치게임을 즐길 수 있다고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근데 왜 갤럭시는...엑시노스..ㅜㅜ

728x90
반응형

https://emuland.tistory.com/9

 

pc에서 듀얼쇼크4 사용하기

듀얼쇼크4를 윈도우PC에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ds4windows의 사용법을 공유드립니다. ​ 먼저 혹시라도... PC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듀얼쇼크4를 구매하신다면... 한가지를 꼭 생각하셔야합니다.

emuland.tistory.com

위의 글에서 이어집니다.

PC에 듀얼쇼크 설치가 완료되어야 스팀에서 인식을 하더라구요;;

그래서 위의 과정을 한번 거치고 오는게 좋습니다.

이미 거치신 분들은 생략하셔도 됩니다.

스팀을 켭니다.

보기 - 설정들어가서 컨트롤러를 선택합니다.

여기서 일반 컨트롤러 설정을 누르시면

이런 화면으로 들어오시는데요

여기서 플레이스테이션 구성지원에 체크가 되어야합니다.

듀속 O나 뒤로를 눌러서 닫으시면 됩니다.

근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ds4window는 꺼져있어야합니다.

ds4window가 켜져있으면 듀얼쇼크를 xbox360패드로 인식합니다.

(하지만 ds4window가 없으면 듀얼쇼크4가 설치가 안되더라구요 ㅜㅜ)

발견된 컨트롤러에 플레이스테이션 4 컨트롤러가 안보이면 뭔가 잘못된 것입니다.

설정이 끝나면 게임마다 패드 설정이 가능합니다.

가이드 옆에 ...을 누르신 뒤 컨트롤러 설정을 누릅니다.

보시면 중앙에 자이로 표시에 아무 글씨가 없는데요.

클릭하면 자이로의 입력 방식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 조이스틱을 선택하시면

자이로 움직임으로 마우스처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fps게임에서 사격을 할 때 오른쪽 아날로그 스틱으로 보통

조준을 하는데요. 여기에 추가로 자이로를 이용하여 조준이 가능합니다.

설정이 되면 자이로에 [마우스 같은 조이스틱]이라고 표시됩니다.

자이로는 이렇고...

자이로를 꼭 써야하는 것은 아닌데요.

다른 사람들이 그 게임에 어울리게 설정해둔 내용을 가지고 와서 쓸 수 있습니다.

듀얼쇼크의 ㅁ눌러줍니다.

이런 이렇게 추천 설정들이 있는데요.

추천은 개발사 추천인데 스카이림은 개발사 추천이 없네요;

커뮤니티를 눌러줍니다. 그럼 위와 같이 커뮤니티에서 추천받은 설정들이 나오는데요

듀얼쇼크4의 설정들도 보입니다.

원하는 설정을 누르면 미리보기로 어떤 설정이 적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인딩 설정 적용을 누르면 해당 설정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후 게임을 실행하면 그 게임에서 듀얼쇼크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728x90

'게임 > pc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am rom manager (스팀 롬 매니저 사용법)  (0) 2022.01.04
pc에서 듀얼쇼크4 사용하기  (0) 2022.01.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