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듀얼쇼크4를 윈도우PC에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ds4windows의 사용법을 공유드립니다.

먼저 혹시라도...

PC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듀얼쇼크4를 구매하신다면...

한가지를 꼭 생각하셔야합니다.

왜 듀얼쇼크인가?

왜 듀얼쇼크인가를 모르고 구입을 하시면....

사실 더 저렴한 윈도우용 조이패드 또는 xbox용 패드를 구입하시는게 PC에서는 더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그럼 왜 듀얼쇼크인가!?

그건 바로 듀얼쇼크의 자이로스코프 (패드를 기울였을 때 이를 인식하는 것)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엑스박스 패드에는 해당 기능이 없습니다.

자이로스코프 기능이 왜 필요한가?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일부 스팀게임에서 이 기능을 지원하고

cemu, yuzu등의 에뮬레이터에서도 자이로스코프 기능을 지원합니다.

그래서 듀얼쇼크가 있는 김에 연결하는 것이면 몰라도

PC에서 사용하려고 듀얼쇼크를 구매하신다면 반드시 하려는 게임에

자이로스코프기능을 지원하는지 보고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ds4window는 ps4용으로 제작된 듀얼쇼크4를 Pc에서 사용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인데요.

ds4window를 검색해서 들어가시면 2016년에 개발이 중단된 버전으로 접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반드시 위의 사이트에서 받으셔야 자이로스코프를 지원하는 점 잊지마세요!

페이지에 접속하셔서 64비트 버전이면 두번째 것

32비트 버전이면 4번째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저는 64비트라 64비트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압축을 풀면 아래와 같이 파일들이 나오는데

선택된 파일을 실행해줍니다.

그럼 이런 설정이 나오는데 데이터를 어디에 저장할지 묻는 것으로 크게 어디를 선택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그 다음에 이 창이 나오는데요

윈도우 10이면 1번만 하면 됩니다.

그럼 설치 프로그램이 시작되는데요.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설치가 다 되면 유선으로 듀얼쇼크4를 PC와 연결해줍니다.

(블루투스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유선 연결이 한번은 되어야합니다.그러니 무조건 시작은 유선으로 연결해줍니다)

PC와 연결하게 되면

이렇게 인식이 됩니다.

또는 프로필을 연결하라고 바로 뜨기도 합니다.

여기서 yes를 누르고

여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apply를 누르시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controller readings를 눌러보시면

이런 화면 나옵니다.

여기서 좌스틱 우스틱을 움직여보시면 움직이는게 있을 거에요.

그리고 자이로가 잘 되면 패드를 이리 저리 흔들어보시면 sixaxis 쪽에 움직이는게 보이실 겁니다.

그럼 정상적으로 잘 연결된 상태입니다.

혹시 인식이 안되면 유선이 충전만 되는 선일 수 있습니다.

꼭 데이터도 되는 케이블로 연결해줍니다.

이렇게 한번 연결이 되면 블루투스로도 연결이 되는데요.

블루투스 설정 화면에 들어가신 뒤

+버튼을 눌러주시고

첫번째를 눌러 주신 뒤

듀얼쇼크4의 ps버튼과 쉐어 버튼을 함께 둘러줍니다. (유선은 해제된 상태)

여기서 Wireless Contoller가 보이면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자 여기까지가 연결방법이구요.

키설정이나 이러 것들은 각 게임의 옵션에서 해주셔야하는데요.

우선 이상태면 ps4리모트에서는 정상적으로 잘 작동할 것입니다.

자 그럼 힘들게 듀얼쇼크를 연결했으니 이제부터 사용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스팀에서 듀얼쇼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기까지 과정을 한 뒤

ds4windows를 꺼주시고 아래의 글을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https://emuland.tistory.com/10

 

 

스팀에서 듀얼쇼크 사용하기

https://emuland.tistory.com/9 pc에서 듀얼쇼크4 사용하기 듀얼쇼크4를 윈도우PC에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ds4windows의 사용법을 공유드립니다. ​ 먼저 혹시라도... PC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듀얼쇼크4

emuland.tistory.com

 

728x90

'게임 > pc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am rom manager (스팀 롬 매니저 사용법)  (0) 2022.01.04
스팀에서 듀얼쇼크 사용하기  (0) 2022.01.04
반응형
 

pc에서 듀얼쇼크4 사용하기

듀얼쇼크4를 윈도우PC에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ds4windows의 사용법을 공유드립니다. ​ 먼저 혹시라도... PC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듀얼쇼크4를 구매하신다면... 한가지를 꼭 생각하셔야합니다.

emuland.tistory.com

여기에서 이어집니다.

닌텐도 스위치는 조이콘의 센서를 활용한 동작들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에뮬레이터인 yuzu에서 듀얼 쇼크를 연결하게되면 프로콘을 쓰는 느낌으로 조작이 가능해집니다.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설정이 필요한데요.

위에 글을 다 따라 하신 뒤 아래 글을 따라하시면 됩니다.

먼저 ds4windows에서 Llink Profile / ID를 꼭 체크해줍니다.

그리고 Profile을 누릅니다.

새 프로필을 하나 만들 예정입니다.

new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이 상태로 apply를 눌러줍니다.

딱히 건들 것은 없고 profile이름을 yuzu로 해주고 save를 눌러줍니다.

그럼 controllers로 돌아가는데 여기서 selected profile에서 yuzu를 선택해줍니다.

그 다음 settings로 갑니다.

 

UDP Sever에

Enable Sever를 체크해줍니다.

서버 주소랑 포트는 입력된 값을 건들필요는 없습니다.

이제 이쪽 셋팅은 끝났습니다. 최소화를 해서 ds4window를 내려줍니다.

그 다음 yuzu를 실행합니다.

Controls를 누릅니다.

여기서 먼저 input device를 아래와 같이 바꿔줍니다.

그 다음에 하단의 메뉴를

이렇게 맞춰줍니다.

Motion1에 숫자가 있을텐데요

아래 버튼을 눌러주면

이렇게 바뀌고 이때 듀얼쇼크를 흔들어주면

Motion 0으로 바뀝니다.

그 다음 Motion의 Configure를 눌러줍니다.

여기에 입력된 서버와 포트가 ds4window에 서버와 포트와 동일하다면 test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듀얼 쇼크를 흔들어주면

이렇게 성공메시지가 나오게 됩니다.

그럼 이제 yuzu에서 자이로액션이 필요할 때 듀얼쇼크를 이용하시면됩니다!

아래의 영상은 듀얼쇼크4의 자이로로 컨트롤 하는 마리오카트8 영상입니다.

다만 PC화면만 찍어서....

자이로로 하는지 아날로그 스틱으로 하는지;;;;;

영상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손과 화면을 함께 촬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https://youtu.be/DiI1wknw8vo

 

 

728x90
반응형

 

먼저 yuzu의 사용법을 모른다면 아래의 글을 보고 오셔야합니다.

https://emuland.tistory.com/4

예전에 yuzu에서 꿈꾸는 섬은 설정 방법이 복잡했습니다.

근데 yuzu도 많이 업데이트 되면서 이제는 한글 폰트와 아카이브파일을 설치해주면 큰 문제 없이 구동이 됩니다.

 

혹시라도 예전 글을 보시고 세이브 파일을 구한다거나 (예전에는 초반에 무조건 튕겨서 그걸 지나간 세이브가 필요했습니다.) async를 끄거나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예전에는 안끄면 실행이 안되었으나 이제는 그럴 필요 없습니다.)

 

먼저 한글 폰트 설치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yuzu를 실행하신 뒤

open yuzu folder 를 눌러

yuzu의 설정 파일이 저장된 폴더를 열어줍니다.

 

그럼 폴더가 하나 열리는데요.

이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해당 폴더에 풀어줍니다. (폴더를 통째로 넣어주셔야합니다.)

이런식으로 sysdata폴더가 있고 그 안에 FontKorean 파일이 있으면 정상입니다.

그 다음 아카이브 파일을 설치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아카이브 파일 설치를 위해서는 류진이 설치되어있어야합니다.

류진 설치 방법은 여기를 확인해주세요.

류진을 실행해서 파일에 open Ryujinnx Folder를 눌러줍니다.

폴더가 열리는데요 bis ->system->Contents

여기를 들어가면 registered폴더가 있습니다. 복사해줍니다.

그리고 다시 유쥬의 폴더를 찾아가서

 

nand->system->Contents에 붙여 넣기 해줍니다.

이렇게 되면 모든 준비가 끝납니다.

유쥬를 재실행해주시면 꿈꾸는 섬이 정상적으로 한글이 출력됩니다.

아래는 꿈꾸는 섬 실행 테스트 영상입니다.

 

https://youtu.be/qOTqErezcTg

 

 

 

 

728x90
반응형

 

닌텐도 스위치의 두번째 에뮬레이터 ryujinx의 사용법을 설명드립니다.

먼저 ryujinx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ryujinx.org/download

 

Ryujinx - Download

Ryujinx is an open source Nintendo Switch emulator written in C# for Windows, Linux and macOS.

ryujinx.org

 

 

자신의 OS에 맞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압축을 풀어줍니다.

 

실행파일을 실행해줍니다.

이렇게 뜨는데요

정상입니다.

file에 가서 open ryujinx folder를 눌러줍니다.

그럼 폴더가 하나 열리는데 폴더가 열리면 ryujinx는 꺼줍니다.

이렇게 생긴 폴더인데 system에 들어갑니다.

여기다가 Prod.Keys라는 파일을 구해서 넣어야하는데요.

구글링을 통해 구하시면 됩니다.

다만 이때 파일 버전을 맞춰 구하셔야하는데요.

9.2.0 또는 10.0.4가 구하기 쉬운 편이니

둘 중 하나로 구하시면 됩니다.

 

구한 키를 system폴더에 넣어줍니다.

펌웨어를 받아야하는데요. 구글링을 통해

9.2.0 또는 10.0.4 중 Prod.keys파일과 같은 버전으로 받아줍니다.

(9.2.0이 둘다 구하기 좀 더 쉽더라구요. 저는 10.0.4를 받았습니다;;)

 

https://darthsternie.net/switch-firmwares/

 

Switch Firmwares - Darthsternie's Firmware Archive

These Firmwares are dumps of game cartridge update partitions, Switch System Partitions or downloaded straight from Nintendo’s CDNThe Packages are compatible with Atmosphere’s Daybreak and ChoiDojour(NX)Firmware 1.0.0-7 (Pre-Release) is not meant for I

darthsternie.net

 

이 사이트에서도 다운로드가 가능한데..

사이트가 안열릴때도 많더라구요.

사이트가 안열리면 구글링으로 받으시는게 더 빠릅니다.

 

 

파일을 받으면 다시 ryujinx를 실행시킨 뒤

tools -> install firmware ->install firmware for xci or zip을 눌러 줍니다.

여기서 받은 펌웨어 파일을 선택해주시면 펌웨어가 설치됩니다.

펌웨어가 정상 설치되면 오른쪽 하단에 시스템 버전이 표시되는데요

그럼 정상 설치된 것입니다.

 

 

자 여기까지 되었으면 옵션에 셋팅을 눌러줍니다.

 

 
 

general 탭에서 game directories에 스위치 게임이 있는 폴더를 add해줍니다.

그다음 input에서 키를 설정해줍니다.

 

그 다음 system에서 지역과 언어를 한국으로 해줍니다.

그 다음 save를 누르고 나와서 게임목록에 게임을 실행해주면 됩니다. (더블클릭)

다만 젤다는 최초 실행 시 노란 화면에서 1분이상 멈춰있다가 넘어가거고

조작화면에서도 많이 느렸습니다. yuzu에서는 불칸이 지원되는데;

ryuzinx에서는 지원되지 않아서 그런지....젤다는 플레이가 어려웠습니다.(i7-6700에 그래픽 카드 960기준)

 

yuzu에 비해서 아직 최적화가 덜 된 것 같기도합니다.

728x90

+ Recent posts